[네트워크]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CS/네트워크2024. 1. 12. 17:45[네트워크]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사진 속 상황 속 URL 입력을 하게 되었을 때 이후를 묻는 면접질문은 Well Known! 이에 대한 답변으로 신입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아래와 같은 답변을 하게 된다면 기본적인 대답은 OK. - 주소창에 www.naver.com라는 특정 주소를 입력후 Enter 땅! - 위 URL에 대한 IP번호를 수신 DNS Cache를 찾아보거나 hosts File을 찾아봐서 해당 정보가 없다면 ISP의 DNS 서버에 질의를 보냄. - 여기서 추가로 DNS서버에 질의를 보낼때도 분기가 나뉨.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 공유기가 DNS 포워딩 기능을 수행. 혹은 ISP Inter..

[네트워크] HTTP Protocol
CS/네트워크2024. 1. 12. 16:09[네트워크] HTTP Protocol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 프로토콜 특징 www에서 쓰이는 핵심 프로토콜로 문서의 전송을 위해 쓰이며, 오늘날 거의 모든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음. 음성, 화상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MIME로 정의하여 전송 가능 Request / Response (요청/응답) 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 버전별 특징 HTTP 1.0의 특징 연결 수립, 동작, 연결 해제의 단순함이 특징 >> 하나의 URL은 하나의 TCP 연결 HTML 문서를 전송 받은 뒤 연결을 끊고 다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 HTTP 1.0의 문제점 단순 동작 ( 연결 수립, 동작, 연결 해제) 이 반복되어 통신 부하 문제 발..

[네트워크] 4계층 - TCP 프로토콜 (전송 과정 설명)
CS/네트워크2024. 1. 2. 13:42[네트워크] 4계층 - TCP 프로토콜 (전송 과정 설명)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정리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설명함. 예를들어 서버의 HDD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File System의 Driver를 통해 해당 파일을 서버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올려야 함. 만약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될 때 서버 프로세스의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분해해서 메모리에 적재하게 됨. (1.4MB → 64KB씩 분해) 서버 프로세스 메모리에 올려진 데이터의 일부는 Socket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을 하기위해 TCP단에 있는 또다른 Buffer(메모리)로 카피가 발생 T..

[네트워크] 3계층 - ARP 프로토콜
CS/네트워크2023. 12. 18. 18:57[네트워크] 3계층 - ARP 프로토콜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PR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 IP 주소는 단순히 L3에서 단대단 연결을 위한 주소이고 실질적인 데이터 이동은 MAC 주소를 사용하는 L2단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ARP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함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 ARP가 중요하게..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