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계층 - IPv4 프로토콜, ICMP 프로토콜
CS/네트워크2024. 1. 2. 12:28[네트워크] 3계층 - IPv4 프로토콜, ICMP 프로토콜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계층 역할 수신처까지 최적의 경로 탐색 (라우팅 역할) 2계층 이더넷에서는 주소로 MAC 주소를 사용했지만, 3계층에서는 MAC 주소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MAC 주소는 장소를 특정할 수 없는 주소이기 때문 IPv4가 하는 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진 않음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음.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됨)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함. IPv4 프로토콜 구조 IPv4 프로토콜 ⇒ 다른 네트워크의 특정 ..

[네트워크] 3계층 - ARP 프로토콜
CS/네트워크2023. 12. 18. 18:57[네트워크] 3계층 - ARP 프로토콜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PR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 IP 주소는 단순히 L3에서 단대단 연결을 위한 주소이고 실질적인 데이터 이동은 MAC 주소를 사용하는 L2단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ARP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함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 ARP가 중요하게..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