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errit을 통한 Commit 단위 코드리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Zrdt%2FbtsDSrSwL6F%2FV40tVQlZkfztDSwbTrhZQK%2Fimg.png)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Gerrit을 통한 코드리뷰를 해야하는 상황이 생겨 Gerrit이 무엇인지와 어떤식으로 활용을 해야할지 정리가 필요하다 생각해 포스팅함. Gerrit이란? 게릿(Gerrit)은 무료 웹 팀 코드 협업 도구.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팀에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 소스 코드의 다른 사람의 수정 사항을 검토하거나 변경 사항을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음. Gerrit은 코드 리뷰를 자동화와 동시에 강제성을 부여함으로써 기능개발을 완료한 Commit들에 대해 원격 저장소로 Push를 할 때 자동으로 지정된 리뷰어에게 알림이 전송되며, 리뷰어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리뷰를 진행함. 이 때 코드 리뷰를 통해 부여된 점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 실제 소스코드에 반영이 이루어짐. Feature Gerr..
![[Docker] 도커란 무엇인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cemP%2FbtsDiwlMWxS%2FQk2zesoxwt0xO5HQF8I2a1%2Fimg.png)
도커 이전에 VM이 존재했다. 13년에 출시한 도커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무엇을 사용했을까?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을 활용하여 서버 프로그램을 구축하였음. 대표적인 가상머신으로는 VMware가 있음. 그렇다면 VM은 또 뭔데? 우선 가상머신의 개념적 정의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에서 각각 자체 운영 체제(OS)와 애플리케이션을 지닌 다수의 가상 머신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것. ( 즉 물리적 컴퓨터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퓨터) VM을 사용하는 이유는? VM을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서버 통합 때문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부분의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 배포는 HyperVisor에 배포되는 경우 소량의 가용 물리적 리소스만을 사용 서버를 가상화하면 각 물리 서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