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그먼트 트리구간 쿼리(Query)와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트리특정 구간의 합, 최소값, 최대값 등을 빠르게 계산. O(logN)범위 합 구하기, 구간 최소값/최대값 구하기누적합의 경우 합계를 구할 때만 사용할 수 있고, 특정 값이 업데이트될 경우 나머지 값들도 모두 업데이트가 되어야 함.세그먼트 트리의 경우 구간내의 다양한 값들을 구할 수 있고, 업데이트될 경우 몇개의 수만 업데이트하면 됨. 즉, 구간내의 다양한 값(최대값, 최소값)과 업데이트가 빈번하게 일어날 경우, 누적합이 아닌 세그먼트 트리 사용세그먼트 트리 초기화배열에 대해 세그먼트 트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분탐색과 비슷한 느낌으로 2개씩의 합을 구하고, 구한 합에 대해 또 2개씩 합을 구하며 최종 한 개의 합까지 구합니다.만약..
그래프그래프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여러 요소(정점)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구성요소로는 정점, 간선, 가중치가 있음.분류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 간선에 방향이 있습니다. (A,B)는 A→B를 의미하며, B→A는 별개의 간선으로 취급됩니다.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 간선에 방향이 없으며 (A,B)와 (B,A)가 동일합니다.가중치 그래프(Weighted Graph): 간선에 가중치가 포함된 그래프입니다.비가중치 그래프(Unweighted Graph): 간선에 가중치가 없는 그래프입니다.트리계층적 구조를 표현하는 특수한 형태의 그래프무방향이면서 사이클이 없는 연결 그래프임의의 두 정점을 연결하는 Simple Path가 유일한 ..
참고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7182 포스팅 목적플로이드 워셜과 다익스트라의 개념을 알고 있다면 두 개를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그래서 위 문제 풀이를 위해 플로이드 워셜이 아닌 다익스트라를 N번 수행했습니다.다익스트라 코드는 평소와 같이 작성을 했지만 제출했을 때 메모리 초과가 발생하여 이유를 찾는 과정에서 다음번에도 실수할 수 있을 것 같은 반례를 찾아서 기록하기 위해 작성합니다.최초 다익스트라 코드static void Dijkstra(int start) { PriorityQueue pq = new PriorityQueue(((o1, o2) -> o1[1] - o2[1])); pq.offer(new int[]{start, 0});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3109풀이그리디 + DFS접근법처음 접근은 완전탐색 방식으로 접근했습니다.문제를 해석해보면 왼쪽 열에서 오른쪽 열까지 벽(x)을 제외한 나머지 통로들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연결할 수 있는 길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주어진 조건에 의한 행동은 3가지로 다음과 같습니다.오른쪽 상단 대각선오른쪽오른쪽 하단 대각선또한 겹치게 설치 할 순 없다는 조건이 있습니다.탐색해야하는 경우의 수는 그럼 총 N개로 시작 열의 격자칸 개수만큼 탐색을 해야합니다.또한 백트래킹을 통해서 완성된 길에 대해서는 기록을 하고, 끝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원상복귀를 시켜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위와같은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서 처음 0,0에서 탐색을 시작하여 길이 완성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