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Status Code 클라이언트에서 오는 HTTP 요청에 대한 응답입니다. 각각의 응답코드 번호는 다음을 나타냅니다. Informational responses (100 – 199) Successful responses (200 – 299) Redirection messages (300 – 399) Client error responses (400 – 499) Server error responses (500 – 599) 다양한 웹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및 개발자들은 위와같은 수많은 Response code를 맞닥뜨리게 됩니다. 수많은 Code들 중 잘 알려진 코드들에 대해 어느정도 숙지를 해놓는다면 시기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거라 생각도 됩니다. 다음으로는 각각의 Response 중 Well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504 2504번: 괄호의 값 4개의 기호 ‘(’, ‘)’, ‘[’, ‘]’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와 ‘[]’는 올바른 괄호열이다. 만일 X www.acmicpc.net 풀이 자료구조 스택을 활용하여 풀이 접근법 temp라는 임시 변수를 활용. 여는 괄호의 경우 Stack.Push() temp *= 2 혹은 temp *=3 → 여는 부분에서 곱하거나 더할 값을 temp변수에 누적 닫는 괄호의 경우 Stack.isEmpty() 체크 각각의 괄호에 따라 결과값에 temp값 누적 및 temp값 감소 temp /= 3 or temp /= 2 소스코드 impor..
![[운영체제] Synchronization Tools(공룡책 스터디 정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RGa39%2FbtsDA9qzzn1%2FAAAAAAAAAAAAAAAAAAAAAN2q5ovfpu5-sfGAtLkDGhmEBdqPdEHua73oxKaDYkrx%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gbVF8Fy7cyAzKvJG7sgtFF%252FyDXs%253D)
본 포스팅은 인프런 공룡책 강의를 기반으로 한 스터디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프로세스 동기화 동시다발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쓰레드들은 서로 협력하면서 영향을 주고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원의 일관성을 보장해야 함. 프로세스 동기화란 ? 실행순서 제어 : 프로세스를 올바른 순서대로 실행하기 글 쓰는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된 후 읽는 프로세스가 실행되어야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넘어가기 때문. 상호 배제 :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 되는 자원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하게 하기 Bank account problem 프린터처럼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해야 하는 자원 Producer & Consumer Problem 공유 자원과 임계 구역..
![[네트워크]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dqOrg%2FbtsDp8lC9MR%2FAAAAAAAAAAAAAAAAAAAAAIYDVhL8X76joukKPFHiiIn67CsRmDpFC6_nnmsH5dxP%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6XINiwjPy2xsWid8WMRCTDuo21M%253D)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사진 속 상황 속 URL 입력을 하게 되었을 때 이후를 묻는 면접질문은 Well Known! 이에 대한 답변으로 신입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아래와 같은 답변을 하게 된다면 기본적인 대답은 OK. - 주소창에 www.naver.com라는 특정 주소를 입력후 Enter 땅! - 위 URL에 대한 IP번호를 수신 DNS Cache를 찾아보거나 hosts File을 찾아봐서 해당 정보가 없다면 ISP의 DNS 서버에 질의를 보냄. - 여기서 추가로 DNS서버에 질의를 보낼때도 분기가 나뉨.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 공유기가 DNS 포워딩 기능을 수행. 혹은 ISP 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