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 서버] Springboot + STOMP를 활용한 채팅 구현](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JouN9%2FbtsEaOt66Yz%2FVcklw5a2CGAydMtC62PJg0%2Fimg.png)
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채팅 서버 관련 개발을 담당하게 되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개발 환경 SpringBoot : 3.2.2 JDK : 17 Dependency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socket'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compileOn..
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채팅 서버 관련 개발을 담당하게 되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채팅 서버 관련 레퍼런스를 참조하며 클론코딩을 진행해보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단순 WebSocket만을 통해 채팅 서버를 구현하게 될 경우 해당 메시지가 어떤 요청인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따라 채팅룸과 세션을 일일이 구현해야함 메시지 발송을 관리하는 추가 코드 필요 이런 단점들을 STOM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메시징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서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다음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부분입니다. STOMP STOMP란? -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 - 메시지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프로토콜 - 기본적으..
![[SpringBoot]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Jar파일 생성](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MFDg%2FbtsC8UWIU5g%2FuSMtP7JX1mobZLB3vDMRp1%2Fimg.png)
우선 스프링부트로 구현한 웹서버 프로그램을 도커 컨테이너화를 시키기 위해서 Jar파일을 생성해야함. 기술 스택 Gradle Project Editor : InteliJ Ultimate SpringBoot : 3.2.0 JDK : 17 1. 인텔리제이 우측 상단 코끼리 모양 Gradle 클릭 후 Tasks 클릭 2. Bulid 클릭 3. Clean 더블클릭 -> Clean의 경우 기존에 생성된 Jar와 관련된 Build 디렉토리 삭제하는 동작을 수행. 4. bootJar 더블클릭으로 Jar파일 생성 정말 간단하게 딸깍 몇번으로 Jar파일 생성 가능! 생성된 Jar파일은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에서 확인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