ℹ️ 목차그래프 이론│├── 1. 그래프에 대해서│ ├── 1.1 그래프의 정의│ └── 1.2 핵심 용어│├── 2. 그래프의 표현 방법│ ├── 2.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 2.2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3. 그래프의 종류│ ├── 3.1 방향 그래프 (Directed Graph)│ ├── 3.2 무방향 그래프 (Undirected Graph)│ ├── 3.3 가중치 그래프 (Weighted Graph)│ ├── 3.4 연결 그래프 (Connected Graph)│ ├── 3.5 비순환 그래프 (Acyclic Graph)│ │ └── DAG (Directed Acyclic Graph)│ ├── 3.6..
알고리즘에서 ‘그래프 이론’은 꽤나 큰 파이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에는 이러한 그래프 이론은 무엇인지, 조금 깊게 파헤쳐보고 정리해보려한다.ℹ️ 목차그래프 이론│├── 1. 그래프에 대해서│ ├── 1.1 그래프의 정의│ └── 1.2 핵심 용어│├── 2. 그래프의 표현 방법│ ├── 2.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 2.2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3. 그래프의 종류│ ├── 3.1 방향 그래프 (Directed Graph)│ ├── 3.2 무방향 그래프 (Undirected Graph)│ ├── 3.3 가중치 그래프 (Weighted Graph)│ ├── 3.4 연결 그래프 (Connected Graph)│ ├── ..
기본적인 예외에 대한 개념// 기본 형태 - 로컬 처리@RestControllerpublic class UserController { @ExceptionHandler(UserNotFound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 handle(UserNotFoundException ex) { return ResponseEntity.notFound().build(); }}// 확장 형태 - 전역 처리@RestControllerAdvice // = @ControllerAdvice + @ResponseBodypublic class GlobalExceptionHandler { @ExceptionHandler(UserNotFoundExc..
객체지향 설계를 다루는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라는 조영호님의 책을 읽고서 정리하고, 저의 생각에 대해서 작성해보았습니다.한 챕터씩 읽어가면서 생각을 바로 정리하기 위해 챕터별로 나누었고, 개인적인 의견이 다소 섞여 있기 때문에 글의 옳고 그름은 있을 수 있습니다. 피드백 주실만한 부분이 보이신다면 말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hapter 1, 2책의 도입 부분에서부터 내가 알고 있던 객체지향에 대한 오해를 말해주고 있다.처음 배울 때 객체지향은 '현실세계의 사물을 모방해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이라고 접했는데, 이러한 오해는 2장까지 읽고나서 대략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내가 이 책을 통해 이해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객체지향의 목표는 실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창조와 같다.'클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