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계층 - ARP 프로토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1JyZ%2FbtsCgvV2s27%2FGIjRj6bguu7x6Tk5nqJdL1%2Fimg.png)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PR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 IP 주소는 단순히 L3에서 단대단 연결을 위한 주소이고 실질적인 데이터 이동은 MAC 주소를 사용하는 L2단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ARP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함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 ARP가 중요하게..
![[네트워크] 2계층 - 이더넷 프로토콜(Ethernet Protoco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F84MW%2FbtsB80CKeyC%2FzIeYOr4EovLhoqpTuXj6Ok%2Fimg.png)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었음. 2계층에서 하는 일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즉,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 추가적으로 오류제어(보내는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흐름제어(누가 누구에게 데이터를 보내는지) 수행함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하는 계층으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함 3계층의 주소, 프로토콜을 이용해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가능. MAC ?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기..
![[PS] 백준15684 : 사다리 조작(Java)](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uoMjZ%2FbtsB809yILN%2FkCOBHSWSfRwen3erZgwVpk%2Fimg.png)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5684 15684번: 사다리 조작 사다리 게임은 N개의 세로선과 M개의 가로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접한 세로선 사이에는 가로선을 놓을 수 있는데, 각각의 세로선마다 가로선을 놓을 수 있는 위치의 개수는 H이고, 모든 세로선 www.acmicpc.net 풀이 DFS로 간단하게 풀 수 있는 문제 접근법 간단한 접근법으로 최대 3개까지의 사다리를 두었을 때의 모든 형태에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식으로 접근할 수 있음. 우선 입력으로 들어오는 모든 M개의 사다리를 배열에 저장 주의할 점으로 배열의 크기는 NM이 아닌 NH임 사다리를 표시할 때는 두가지 방법이 존재 해당 좌표에만 1이라는 값으로 표시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경우는 [r][..
![[네트워크] 웹 서비스 구조(Web Service Structur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xXuSY%2FbtsBUL0WFhk%2FR0w3DhkHU8JuuZ3OU7YTrK%2Fimg.png)
본 포스팅은 네트워크 스터디를 기반으로 개인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초창기 웹 서비스 구조 문서를 다루는 프로그램은 자료구조, UI, 제어체계 3가지 요소로 구성됨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위해 위 3가지를 나누어서 각자 관리 문서는 자료구조에 해당됨 자료구조 중 DOM(비선형 트리)으로 이루어짐 HTTP 통신 웹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 프로토콜로는 HTTP가 있음 HTTP의 버전의 성장 : 0.9 -> 1.0 → 1.1 → 2.0 → 3.0(현재) 우선 HTTP프로토콜의 대전제로 클라이언트 - 서버 간의 TCP/IP연결이 되어있다는하에 HTTP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함. HTTP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State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