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껏 클래스 내에서 메서드를 선언할 때 static 한정자에 대한 고민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자바의 정석을 읽는 도중 좋은 내용을 건진 것 같아 포스팅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public class Test { int x; int y; int add() { return x + y; } int add(int x, int y) { return x + y; }}class Practic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 t = new Test(); }}위와 같은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하자.매개변수가 없는 add() 메서드의 경우 인스턴스 변수를..
Intro코드트리 조별과제를 진행한지 저에겐 2주차가 되는 시점이네요!이번 주차에는 평소 해야지 해야지... 하고 생각만 하던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을 진행했습니다.보다시피 코드트리에는 정렬 알고리즘 학습 커리큘럼이 잘 구성이 되어있고, 이미지 및 영상 참고자료도 보기 편하게 제공이 되어 원활하게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각각의 알고리즘 동작 방식과 시간, 공간 복잡도를 중점으로 학습하였습니다. Bubble Sort(버블 정렬)거품 정렬은 가장 단순한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값을 비교하고, 두번째와 세번째 값을 비교하고, ... n-1번째와 n번째 값을 비교합니다. 이 과정에서 순서가 맞지 않은 값을 서로 교환해줍니다. 이런 절차를 정렬이 될 때 까지..
IntroWebRTC는 CodeArena라는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 사용해보았던 기술입니다.그 때 당시 과제로 WebRTC 기술을 적용해야 하였고, 저희 팀이 선택한 서비스는 “화면 공유 스트리밍” 서비스 였습니다.해당 서비스에 대해 배포 환경 및 엔드포인트 구축은 제가 맡아 처리하게 되었습니다.또한 최근 직무 면접 컨설팅을 받는 도중 한 프로젝트에서 “WebRTC와 WebSocket을 둘 다 사용하였던데, 그 이유가 있나요? 하나의 기술로 나머지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지 않나요” 라는 질문에 제대로된 답변을 못한 것이 이번 포스팅을 통해 학습을 하는 큰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우선 WebRTC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려 합니다.WebRTC란?WebRTC는 Web Real-Time Comm..
Intro이 글을 쓰게 된 계기는 “지난 프로젝트에서 이 기술을 선택한 이유가 뭘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됩니다.저는 개발해본 적 없는 기능을 구현할 때 많은 레퍼런스를 참조해보곤 합니다. 또한 많은 기술들 중 한 개의 기술을 선택하게 되고, 그 기술에 대해 학습 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했던 것 같습니다. 돌이켜보면 지난 프로젝트들에 대해 “왜 이러한 기술을 선택했냐?” 라는 질문에 자문자답을 해보면 “해당 기능에 대한 기술로 자주 언급되니까?” 정도에서 그쳤던 것 같습니다.조금만 생각해봐도 고려해야하는 사항으로 떠오르는 것들이 한 두가지가 아닌데 말이죠. 그래서 백엔드로서 기술을 선택할 때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나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있으면 정말 좋을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찾아보니 따로 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