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roWebRTC는 CodeArena라는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 사용해보았던 기술입니다.그 때 당시 과제로 WebRTC 기술을 적용해야 하였고, 저희 팀이 선택한 서비스는 “화면 공유 스트리밍” 서비스 였습니다.해당 서비스에 대해 배포 환경 및 엔드포인트 구축은 제가 맡아 처리하게 되었습니다.또한 최근 직무 면접 컨설팅을 받는 도중 한 프로젝트에서 “WebRTC와 WebSocket을 둘 다 사용하였던데, 그 이유가 있나요? 하나의 기술로 나머지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지 않나요” 라는 질문에 제대로된 답변을 못한 것이 이번 포스팅을 통해 학습을 하는 큰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우선 WebRTC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려 합니다.WebRTC란?WebRTC는 Web Real-Time Comm..

Intro이 글을 쓰게 된 계기는 “지난 프로젝트에서 이 기술을 선택한 이유가 뭘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됩니다.저는 개발해본 적 없는 기능을 구현할 때 많은 레퍼런스를 참조해보곤 합니다. 또한 많은 기술들 중 한 개의 기술을 선택하게 되고, 그 기술에 대해 학습 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했던 것 같습니다. 돌이켜보면 지난 프로젝트들에 대해 “왜 이러한 기술을 선택했냐?” 라는 질문에 자문자답을 해보면 “해당 기능에 대한 기술로 자주 언급되니까?” 정도에서 그쳤던 것 같습니다.조금만 생각해봐도 고려해야하는 사항으로 떠오르는 것들이 한 두가지가 아닌데 말이죠. 그래서 백엔드로서 기술을 선택할 때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나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있으면 정말 좋을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찾아보니 따로 깔..
![[코드트리 조별과제] 3주차 학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kBs3x%2FbtsIQyGMAnt%2FAAAAAAAAAAAAAAAAAAAAAAx5coQEhwxICC2nqC1E2yKCrP82Vm5wH0TJgqdDAKDr%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NzpeAE4Mnw4XJdxdTD8hDaJ3s7U%253D)
Intro취준을 같이 하는 계명대학교 동문 한명에게로부터 코드트리를 추천 받아 3주차로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학교 별 대항전은 못참아!) 코드트리는 SSAFY에서 삼성 역량 테스트 B형 특강을 수강할 때 유료플랜을 받아 몇 번 문제를 푼 경험이 있는 플랫폼이였고, 그 때 당시에도 구성이 되게 좋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왜냐하면 백준, 프로그래머스처럼 분류 별 문제만 푸는 것이 아닌 학습 커리큘럼에 대해 체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이였죠. 현재 취업준비를 병행하면서 코딩테스트 준비를 하기 위해 무작정 백준, 프로그래머스 떠돌아다니며 문제만 풀고 있었는데, 이 기회에 제대로 된 커리큘럼을 통해 다시 한번 알고리즘 실력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3주차 학습 정리 우선 동문의 추천을 받아 [학습하기] 테마..
![[프로젝트 회고] 나의 첫 팀 프로젝트 - CodeArena](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xgXhe%2FbtsIDLyHxrF%2FAAAAAAAAAAAAAAAAAAAAAGrk6O-MTZwCo8EQnl4NNyo5_HXbGeGrwLzk5G7uQG8Y%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ZurIRdrGTKGsmkg57klPq73EMQM%253D)
IntroSSAFY 2학기 공통프로젝트인 CodeArena 서비스 개발에 대한 회고를 하려합니다.회고를 하기엔 약간 늦은 감이 있지만 기억을 천천히 되짚어보며 전통적인 회고 방법론인 KPT를 기반으로 좋았던 점, 문제였거나 아쉬웠던 점, 개선 시도 등에 대해 정리하려합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SSAFY 내에서 첫 프로젝트였던만큼 배운 점이 정말 많지만 그만큼 기획부터 말썽이 잦았던 프로젝트였던 것 같아요. 이제 시작하겠습니다.팀 모집SSAFY 2학기는 자율적으로 팀을 구하는데요. 비전공을 최소한 2명 이상 포함 해야하기에 처음에는 MM이라는 소통 툴로 여러 명에게 러브콜을 날렸던 것 같네요. 전공반에서 3명과 함께 하기로 했고, 세 명 전부 백엔드 포지션 희망이였기 때문에 비전공에서 프론트 분들을 구하기엔..